windows 7을 설치한 후 RAID 구성 후 속도를 체크해 보고 싶어서 뒤적뒤적 거리다 보니
ATTO Disk Benchmark 라는 프로그램이 괜찮다는 글을 보고 돌려 보았다
일단 하드 구성은 윗 그림과 같다
디스크 0의 경우 시게이트 500GB 하드 4개를 가지고 RAID5 를 구성하였다
그후 운영체재 공간으로 C드라이브를 구성하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용(애니)으로 F드라이브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디스크1과 디스크2를 스프라이트 구성(윈도우 디스크 관리 이용)하여
D 드라이브를 생성하고 나머지 용량으로 E 드라이브를 구성하였다
일단 C 드라이브의 경우 RAID5의 취약점(?)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읽기 속도는 읽기 속도가 엄청 빠른 반면에 쓰기속도는 완전 쥐약이였다
내가 애초에 생각하던 방식이 아니였던 것이다
운영체재 이외의 나머지 용량에 데이터를 넣어야 하는데 속도가 너무 느리다
요즘 게임을 잘 하지는 않지만 만일 C드라이브에 설치하게 될 경우 설치속도가 상상이 안된다 =ㅅ=
D드라이브와 E드라이브는 같이 봐야 하는데(이부분은 조금 이상?)
E드라이브가 용량이 큰 부분의 쓰기 속도가 조금 이상한것을 제외하고는 D드라이브 보다 빨랐다
원래 윈도우 디스크 관리의 스프라이트 기능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지만 별로 쓸모가 없는 듯 했다
아니 성능이 더 저하됐다고 해야 하나?
마지막으로 F 드라이브는 뭐 C 드라이브와 별반 차이 없었다 쓰기 속도는 완전 쥐약이고
읽기 속도는 빨랐다(당연히 RAID 구성후 쪼갠 드라이브 이니)
512 이후 속도 저하는 전문가가 아니니 제대로 알지는 못하고...
이로써 하드 속도 체크 완료~
언제 운영체재를 다시 깔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귀차니즘을 저 멀리 던져 버리고
RAID1 을 구성하거나 RAID1+0 을 구성하여 다시 체크해 봐야 할 것 같다
ATTO Disk Benchmark 라는 프로그램이 괜찮다는 글을 보고 돌려 보았다
일단 하드 구성은 윗 그림과 같다
디스크 0의 경우 시게이트 500GB 하드 4개를 가지고 RAID5 를 구성하였다
그후 운영체재 공간으로 C드라이브를 구성하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용(애니)으로 F드라이브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디스크1과 디스크2를 스프라이트 구성(윈도우 디스크 관리 이용)하여
D 드라이브를 생성하고 나머지 용량으로 E 드라이브를 구성하였다
일단 C 드라이브의 경우 RAID5의 취약점(?)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읽기 속도는 읽기 속도가 엄청 빠른 반면에 쓰기속도는 완전 쥐약이였다
내가 애초에 생각하던 방식이 아니였던 것이다
운영체재 이외의 나머지 용량에 데이터를 넣어야 하는데 속도가 너무 느리다
요즘 게임을 잘 하지는 않지만 만일 C드라이브에 설치하게 될 경우 설치속도가 상상이 안된다 =ㅅ=
D드라이브와 E드라이브는 같이 봐야 하는데(이부분은 조금 이상?)
E드라이브가 용량이 큰 부분의 쓰기 속도가 조금 이상한것을 제외하고는 D드라이브 보다 빨랐다
원래 윈도우 디스크 관리의 스프라이트 기능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지만 별로 쓸모가 없는 듯 했다
아니 성능이 더 저하됐다고 해야 하나?
마지막으로 F 드라이브는 뭐 C 드라이브와 별반 차이 없었다 쓰기 속도는 완전 쥐약이고
읽기 속도는 빨랐다(당연히 RAID 구성후 쪼갠 드라이브 이니)
512 이후 속도 저하는 전문가가 아니니 제대로 알지는 못하고...
이로써 하드 속도 체크 완료~
언제 운영체재를 다시 깔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귀차니즘을 저 멀리 던져 버리고
RAID1 을 구성하거나 RAID1+0 을 구성하여 다시 체크해 봐야 할 것 같다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 성향 테스트 결과... (0) | 2012.01.12 |
---|---|
테스트 사진 (0) | 2009.05.29 |
RAID 구성 두번째 이야기 (0) | 2009.05.23 |
놀라운 지름신 (0) | 2009.05.14 |
TiStory 시작 (0) | 2009.05.12 |